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병원 vs 전문병원 vs 상급종합병원, 정확한 차이 총정리

by rapae 2025. 7. 25.
반응형

 

 

아래는 대한민국 의료법 기준에 따른 종합병원, 전문병원, 그리고 상급종합병원의 법적·구체적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종합병원 (General Hospital)

  • 병상 기준: 100병상 이상 보유해야 합니다.
  • 진료 과목 요건:
    • 100~300병상: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중 3과목 + 영상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등 최소 7개 진료과목 필수, 각 과목별 전문의 배치.
    • 300병상 초과: 위 7개 필수과목 외에 정신건강의학과, 치과 포함 총 9개 이상 진료과목, 각 과목에 전속 전문의 배치.

종합병원은 2차 의료기관 중 규모가 큰 의료기관으로, 외래와 입원을 모두 수행 가능하며 여러 과목 전문진료가 이루어집니다.


💡 2. 전문병원 (Specialty Hospital)

  • 지정 방식: 병원급 의료기관 중 특정 질환이나 진료과목의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병원을 보건복지부 장관이 평가 후 지정
  • 지정 요건:
    • 특정 질환/과목별 대상으로 환자 구성 비율 기준 충족
    • 일정 수 이상의 진료과목 보유 및 각 과목별 전문의 배치
    • 최근 3년간 의료업 정지·허가취소 등의 경력 없어야 함
  • 지정 유효기간: 3년마다 평가 및 재지정 진행

예시 분야: 관절, 척추, 뇌혈관, 심장, 안과, 유방, 화상, 주산기, 소아청소년과 등 총 약 19–20개 지정 분야
미지정 병원이 ‘전문병원’ 명칭 사용 시 의료법 위반입니다.


🏛️ 3. 상급종합병원 (Tertiary Hospital / Advanced General Hospital)

  • 지정 대상: 종합병원 중에서 고난도 중증 질환 진료를 수행하는 기관을 보건복지부 장관이 3년마다 평가 후 지정
  • 지정 기준 (제5기 ‘24~’26 기준)
    • 20개 이상 진료과목 보유 및 과목별 전속 전문의 배치
    • 전문의 수련병원 기능
    • 인력·시설·장비 기준 충족 (예: 중환자실, 음압격리 병실, 보안시설 등)
    • 중증질병군 환자 비율 34% 이상, 단순 외래환자 비율 12% 이하, 의원 중심 외래질환 비율 7% 이하
    • 인증된 의료기관 또는 조건부 인증 병원이어야 함
  • 역할과 특징:
    • 3차 의료기관으로 분류되며, 복잡하고 중증 환자의 치료 및 연구·교육 기능을 수행
    • 지정받은 기관에만 상급종합병원 명칭 사용 허용
    • 제5기(2024~2026) 기준으로 전국 최대 47개소 지정

📊 비교 요약 표

구분 종합병원 전문병원 상급종합병원
법적 기준 의료법 제3조의3 의료법 제3조의5 의료법 제3조의4
병상 수 100병상 이상 병원급 기준 (30병상 이상) 지정 시 병상 수 기준 없음, 이미 종합병원 대상
진료과목 요건 100–300병상일 경우 7개 / 300병상 초과 시 9개 이상 특정 질환 중심 과목 보유 및 전문의 배치 20개 이상 진료과목, 전 전문의 배치
지정 주체 및 방식 개설 신고 및 운영 보건복지부 장관 지정, 3년마다 재평가 보건복지부 장관 지정, 3년마다 재지정 및 평가
대상 서비스 수준 2차 의료기관: 입원·외래 혼합 진료 가능 특정 분야 난이도 높은 진료 제공 3차 의료기관: 중증환자 고난이도 진료·교육·연구 수행
명칭 사용 제한 종합병원 명칭 사용 가능 지정 병원만 ‘전문병원’ 명칭 사용 가능 지정된 곳만 ‘상급종합병원’ 명칭 사용 가능

✅ 왜 이 차이점이 중요한가?

  • 환자 선택 기준: 중증질환, 수술, 입원이 필요할 경우 상급종합병원; 특정 질환 (예: 관절)으로 전문 치료가 필요하면 전문병원; 일반적인 입원·외래 치료는 종합병원 선택.
  • 의료비 및 수가 혜택: 상급종합병원은 다른 의료기관보다 가산율이 높고, 높은 평가 기준을 충족한 기관만이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법적 명칭 사용 제한: 지정되지 않은 기관이 잘못된 명칭을 사용할 경우 의료법 위반에 해당하며 처벌 대상입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의원 vs 병원 핵심 차이

1. 주요 용어 정리 및 법적 근거의료기관 정의의료법 제3조에 따라, 의료기관은 의료인이 공중 또는 특정 다수를 위하여 의료행위를 하는 장소로 정의됩니다.의료기관의 구분 (의료법 제3조 제2

rapae.tistory.com

 

반응형